운전하다 보면 받게 되는 안내 문자, “자동차 정기검사 대상입니다” 혹은 “종합검사 받으셔야 합니다”. 대충 넘겼다가 과태료 폭탄 맞은 경험, 생각보다 많은 운전자들이 겪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차이, 검사 주기·비용·과태료, 그리고 놓치지 않는 꿀팁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정기검사란? 모든 자동차가 일정 주기로 받아야 하는 기본 검사
자동차 정기검사는 제동장치, 조향장치, 전조등, 타이어 등 차량 안전성을 확인하는 기본 검사입니다.
차량 종류 | 최초 검사 | 이후 주기 |
---|---|---|
비사업용 승용차 | 신차 4년 후 | 2년마다 |
사업용 승용차·승합차 | 신차 2년 후 | 매년 |
경형·소형 화물차 | 신차 3년 후 | 2년마다 |
- 검사 비용: 약 23,000원~30,000원
- 검사 장소: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또는 민간 검사소 (민간이 다소 비쌈)
종합검사란? 정기검사 + 배출가스 정밀검사
종합검사는 정기검사 항목에 배출가스 정밀검사가 추가된 형태입니다. 대기오염이 심한 수도권 및 대도시 등록 차량이 대상입니다.
구분 | 정기검사 | 종합검사 |
---|---|---|
검사 항목 | 안전 검사 | 안전 + 배출가스 정밀검사 |
적용 지역 | 전국 | 서울, 경기, 인천, 광역시 |
검사 비용 | 약 2~3만 원 | 약 4~5만 원 |
- 주기: 정기검사와 동일 (비사업용 기준 2년마다)
- 대상 지역은 등록 주소지 기준 → 같은 차량이라도 서울 vs 강원도 등록지에 따라 달라짐
검사 미루면 과태료 폭탄!
정기검사 2~3만 원인데 과태료는 수십만 원까지 오릅니다.
지연 기간 | 과태료 |
---|---|
30일 이내 | 4만 원 |
31일 이상 | 매 3일 초과 시 2만 원 가산 |
최대 한도 | 60만 원 |
검사 안 놓치는 꿀팁
- 자동차 등록증 뒷면 확인: 검사 유효기간 기재
- 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앱 예약: 검사소 위치·예약 지원
- 문자 알림 서비스 신청: 검사일 임박 시 자동 안내
검사 비용 아끼는 팁
- 가까운 검사소 이용 → 교통비·대기시간 절약
- 공단 직영소 vs 민간 검사소 비교 → 가격 차 존재
- 온라인 예약 → 빠른 접수 및 절차 간소화
- 오전 예약 → 대기 시간 단축
FAQ: 자동차 검사 Q&A
Q1. 내 차는 정기검사인가요, 종합검사인가요?
A1. 등록된 지역 기준입니다. 서울·경기·광역시는 대부분 종합검사 대상입니다.
Q2. 검사 비용은 세금 공제되나요?
A2. 아닙니다. 검사 비용은 공제 불가 항목입니다.
Q3. 과태료는 최대 얼마까지 부과되나요?
A3. 최대 60만 원까지 올라갑니다.
Q4. 어디서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A4.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또는 민간 검사소에서 가능합니다.
Q5. 검사 예약은 어떻게 하나요?
A5. 교통안전공단 앱·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예약이 가능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결론
정기검사 2~3만 원, 종합검사 4~5만 원. 검사 주기만 지켜도 과태료 수십만 원 절약 가능합니다. 자동차는 타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때 관리받는 것이 진짜 절약입니다.